티스토리 뷰
Resource Limit 실습
Resource CPU
- 1(1000m) : CPU 1개를 fully 사용하는것
- 250m: CPU 1개를 1/4 만큼 사용하는것
Resource Memory
- 1G (Gigabyte) = 1,000,000,000 bytes
- 1M (Megabyte) = 1,000,000 bytes
- 1K (Kilobyte) = 1,000 bytes
- 1Gi (Gibibyte) = 1,073,741,824 bytes
- 1Mi (Mebibyte) = 1,048,576 bytes
- 1Ki (Kibibyte) = 1,024 bytes
Resource 설정관련
- CPU 의 경우 Limit 를 일시적으로 넘어갈 수 있음, POD 의 실행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음
- Memory 의 경우 Limit 를 넘어서면 OOMKilled 라는 메시지와 함께 POD 가 Kill 됨, 그러므로 Memory 의 Limit 을 재조정 해야할 필요가 있음
예)
kubectl get pods
NAME READY STATUS RESTARTS AGE
test-pod 0/1 OOMKilled 2 26s
Resource 설정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frontend
spec:
containers:
- name: app
image: images.my-company.example/app:v4
resources:
requests:
memory: "64Mi"
cpu: "250m"
limits:
memory: "128Mi"
cpu: "500m"
- name: log-aggregator
image: images.my-company.example/log-aggregator:v6
resources:
requests:
memory: "64Mi"
cpu: "250m"
limits:
memory: "128Mi"
cpu: "500m"
resource 의 경우 위와 같이 containers 하위에 resources 항목에 지정을 한다.
- app 컨테이너
- 요청:
- 메모리: 64 Mibibyte 로 설정
- CPU: 250m 이므로 1개의 CPU를 1/4로 사용
- Limit:
- 메모리: 128 Mibibyte 로 설정
- CPU: 500m 이므로 1개의 CPU를 1/2로 사용
- 요청:
'Kuberne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Kubernetes] Taint and Toleration (0) | 2022.04.11 |
---|---|
[Kubernetes] Kubernetes NodeSelector 실습 (0) | 2022.04.11 |
[Kubernetes] Kubernetes DaemonSet 실습 (0) | 2022.04.11 |
[Kubernetes] Kubernet ConfigMap 실습 (0) | 2022.04.11 |
[Kubernetes] Kubernetes Secrets 실습 (0) | 2022.04.11 |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kubectl
- Kafka
- kubernetes
- CD
- jenkins
- Database
- go
- argocd
- Gorilla
- mongo
- springboot
- NodeSelector
- docker-compose
- gitops
- CI
- deploy
- Golang
- mapping
- declative
- java
- Terraform
- Spring
- MySQL
- kafka-springboot
- docker
- tfsec
- D3
- AWS
- jpa
- MongoDB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