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anyToMany JPA 가 직접 만들어주는 엔터티와 테이블 말고, 우리가 직접 엔터티를 만들고, 테이블을 생성하고자 할 때가 있다. 시나리오.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User가 있다. 사용자는 다양한 클럽에 가입할 수 있다. 클럽을 저장하는 Club가 있다. Club도 여러 사용자를 가질 수 있다. 클럽에 포함된 사용자를 나타내는 ClubUsers가 있다. ClubUsers 는 유저의 점수, 상태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가 전형적인 M:N 관계이다. 이러한 관계는 연관 테이블을 생성하여 비즈니스 니즈를 해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M:N 이면서 해당 ClubUsers 만의 별도의 속성을 가지고자 할 때 우리가 생성한 ClubUser를 직접 컨트롤 할 수 있다. 위 다이어그램에서 보는 바..

ManyToMany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다보면 ManyToMany 관계를 종종 만들어야 할 때가 있다. 시나리오. 사용자 정보를 담고 있는 User 가 있다. 시스템의 다양한 사용정보를 정의한 Role 이 있다. 사용자는 다양한 Role 을 가질 수 있다. Role 은 여러 사용자에 할당 될 수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가 전형적인 M:N 관계이다. 이러한 관계는 연관 테이블을 생성하여 비즈니스 니즈를 해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위 다이어그램에서 보는 바와 같이 user_id, role_id 를 각각 가진 user_role 이라는 테이블으 생성 되었고. user : user_role = 1 : N 관계가 형성이 된다. role : user_role = 1 : N 관계가 형상이 된다. 이렇게 중간 테이..
- Total
- Today
- Yesterday
- gitops
- docker-compose
- Gorilla
- CI
- java
- CD
- MySQL
- kafka-springboot
- MongoDB
- deploy
- go
- jenkins
- Spring
- D3
- docker
- Terraform
- kubernetes
- NodeSelector
- jpa
- mongo
- argocd
- tfsec
- kubectl
- Database
- springboot
- mapping
- Kafka
- declative
- Golang
- AW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