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cal 에서 MariaDB StatefulSet 컨테이너 실행하기 Local에서 데이터베이스를 Container로 실행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DataBase 는 pod가 재실행 되더라도 항상 고정된 볼륨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어야한다. 이때 주로 사용하는 것이 StatefulSet 이다. 우리는 여기서 StatefulSet을 생성하고, MariaDB를 로컬 환경에서 실행해 볼 것이다. Namespace 생성하기 우리는 storage라는 namespace를 생성하고, mariadb를 실행할 것이다. namespace definition 은 다음과 같다. apiVersion: v1 kind: Namespace metadata: name: storage StorageClass 생성하기 저장해야할 스..

Docker 컨테이너 가볍게 빌드하기. Docker는 컨테이너 툴은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도구이다. 컨테이너 이미지를 작성할때, 어떻게 작성하느냐에 따라서 컨테이너 빌드 속도와, 빌드 후 이미지 크기에 영향을 주며, 이러한 영향은 프로젝트 개발 라이프 사이클에서 어느정도 영향을 주게 된다. 필자의 경우 Docker Build 시 Dockerfile 을 비효율적으로 작성하는 바람에 빌드 시간이 30분이 소요된 경우도 있었다. 이런 이유는 Docker Build 레이어를 사용한다는 사실을 모른채 Dockerfile을 작성했었고, 매번 빌드시마다 의존성 파일을 다운로드하는 비효율적인 빌드를 수행했었기 때문에 발생했었다. 이번 아티클은 Golang 으로 웹 어플리케이션을 간단히 작성해보고, Docker..
- Total
- Today
- Yesterday
- kafka-springboot
- gitops
- Spring
- springboot
- java
- go
- deploy
- D3
- Terraform
- docker-compose
- Kafka
- jenkins
- kubectl
- kubernetes
- AWS
- Golang
- argocd
- declative
- CI
- NodeSelector
- Database
- CD
- MySQL
- mapping
- jpa
- docker
- MongoDB
- Gorilla
- mongo
- tfsec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